제목 | 자주하는 질문과 답변 |
---|---|
작성자 | 서울슬림외과 |
작성일 | 2015-05-14 15:53:26 |
[위밴드수술 후 밴드상태 체크 관련] 밴드조절 받을 때 밴드상태도 확인 가능할까요? 병원에 오실 때 마다 밴드조절뿐만 아니라 밴드상태도 항상 체크를 해드리고 있습니다.
[위밴드수술 후 임신 출산 관련] 임신, 출산 가능여부/ 임신중, 출산 후 밴드조절 등
위밴드수술 후 임신, 출산(자연분만, 제왕절개) 모두 가능한가요?
출산(제왕절개, 자연분만)을 하는데 산부인과에 위밴드수술을 알려야 할까요?
임신상태에서도 밴드조절이 가능한가요? 태아에게 문제가 되진 않을까요?
임신을 하면 밴드 식염수를 모두 제거해야 하나요?
식사량이 적어서 태아의 성장이 걱정되는 수준이라면 밴드를 조금 느슨하게 하고 식사량을 늘리기도 합니다.
출산 후 언제부터 밴드조절이 가능한가요?
모유의 양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밴드수술 후 각종 증상 및 통증 관련] 왼쪽 어깨 통증/ 트림/ 가스
수술 후 왼쪽 어깨가 왜 불편할까요?
밴드가 위치하는 곳이 횡경막 바로 앞이라서 횡경막이 자극을 받을 수 있는데 횡경막에는 감각 신경이 없어서 좌측 어깨가 아픈 것처럼 느끼는 것입니다.
수술 후 가스가 많이 차요/ 트림, 가스가 많이 나와요.
천천히 먹었는데도 왼쪽 어깨가 불편해요.
아직은 조금 빠른 식사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술 한지 오래 되었는데 아직도 가끔 왼쪽 갈비뼈 쪽 옆구리가 땅기듯 아픈 통증이 있어요.
왜 그럴까요?
그 기간을 넘기게 되면 자연히 식사량이 늘게 되고, 그렇다 보면 식사하는 속도도 빨라지기 마련입니다. 한번 증상이 나타나면 수시간 또는 수일간 지속되는 경우도 있어서 식사를 하지 않아도 불편 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밴드수술 후 밴드조절 관련] 잘 먹거나/ 못 먹거나 어떻게 해야 하나?
아침, 점심은 조금 먹어도 배부른데 저녁은 많이 먹어요
밴드조절하고 왔는데 너무 잘 먹어요. 다음 예약일 까지 기다릴까요?
병원에서 물도 잘 넘어가고 괜찮았는데 집에 와서 물도 넘어가지 않아요.
[위밴드수술 후 제거 관련] 밴드는 나중에 제거를 해야 하나요? 위밴드는 평생 몸에 지니고 있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미국 FDA와 한국 식약처를 비롯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제거 후에는 수술 전 상태로 원상복구가 가능합니다.
[위밴드수술 후 포트 관련] 왼쪽 갈비뼈 아래에 둥근 무언가 만져져요. 포트가 느껴지는 것일 겁니다.
[위밴드수술 후 처치 관련] 복대/ 소독밴드/ 샤워
복대는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소독밴드는 언제 제거해야 하나요?
소독밴드 제거했는데 배꼽에 있는 하얀 건 뭔가요?
소독밴드 제거 후 아무것도 안 붙여도 상처에 지장 없나요?
수술 후 샤워는 언제부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소독밴드가 함께 떼어질 경우 병원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02-567-7558) 수술 2일 후 소독밴드를 제거한 후에는 상처부위에 방수테이프를 붙인 후 샤워를 하시면 됩니다.
[위밴드수술 후 내원횟수, 그린존 관련] 몇번 내원해야 하나요? 그린존은 언제?
수술 후 몇 번 내원해야 하나요?
아무래도 한달 간격으로 받으시는 것 보다는 수술의 효과를 좀 더 빨리 느끼실 수 있겠습니다.
수술 후 그린존까지 몇 번의 밴드조절이 필요한가요?
일단 그린존에 다다르면 최소 수개월 정도는 밴드조절 없이 비슷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위밴드수술 후 구토 관련] 급하게 먹다가 걸려서 구토를 했는데 괜찮을까요? 누구나 수술 후에 한두 번 토하는 경험은 하기 마련입니다. 소량을 천천히 꼭꼭 씹어먹는 식습관이 자리 잡히도록 해야 합니다.
[위밴드수술 후 식사 관련] 잘 먹다가 갑자기 먹는 게 힘들어질 때가 있는데 왜 그런가요? 감기 등 몸 컨디션이 안 좋을 때는 식사가 조금 힘들어지기도 합니다.
[위밴드수술 후 감량 관련] 언제부터 살이 빠지나요? 어떤 분들은 수술 후 바로 감량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월 평균 1~4kg의 감량을 목표체중까지 꾸준히 일어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꾸준히 소식하는 경우에 원하시는 만큼의 감량은 가능합니다.
[위밴드수술 후 유동식 관련] 미음식, 유동식 차이는 뭔가요? 미음식은 수프, 선식, 미숫가루와 같이 건더기가 없이 약간의 걸쭉한 정도이며 유동식은 일반적인 죽을 말합니다. 단, 건더기는 쌀알크기 정도로 갈아서 드셔야 합니다.
[위밴드수술 부작용 관련] 미란/ 밴드 미끄러짐/ 염증 원인과 증상
저희 서울슬림외과에서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수술법을 바꿔 S-루프로 하고 있으며 이후 미란이나 밴드 미끄러짐이 전혀 발생하고 있지 않습니다.
미란(밴드가 위를 파고드는 경우) 증상
염증(주로 수술 중 바늘로 식도나 위를 손상시켜 장내세균이 자라는 것)이 발전되어 밴드가 위를 파고들어가거나 밴드를 너무 심하게 조여서 위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위가 괴사되는 경우입니다. 미란의 경우 자각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포트의 염증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은 음식물이 갑자기 과하게 잘 들어가는 것입니다. 미란이 발생하면 무조건 밴드를 제거해야 하며
밴드 미끄러짐 증상
수술 완성도가 떨어지는 경우와 심한 경우 식염수를 완전히 제거해도 제대로 음식을 먹을 수 없게 됩니다.
염증 증상
염증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밴드조절의 미숙함으로 감염이 되는 경우 염증이 심해서 고름이 잡히는 경우 해결책은 포트를 일시적으로 제거하고 염증부위의 소독을 충분히 한 후 완전히 염증이 없어진 후(대략 1-2개월 후)에 다시 포트를 넣어주는 것입니다. 포트가 제거된 동안은 당연히 밴드조절은 불가능합니다. 바늘이 너무 깊이 들어가거나 무리하게 조작해서 위나 식도에 상처를 주어서 장내 세균이 복강내로 나와서 자라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식도를 눌러서 밴드를 조이지 않았는데도 음식의 통과가 힘들게 될 수 있으며, 가끔은 밴드에 생긴 염증이 관을 따라서 포트까지 전파되어 포트의 염증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수술 부위의 염증이 완전히 해결된 후 밴드를 재 삽입하는 수술을 하는 것입니다.
열흘 정도 구토가 있었는데 미란이 발생하진 않겠죠?
밴드를 너무 과도하게 조이는 것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